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부산의 랜드마크
북항재개발사업

BPA 소개

비주얼 백그라운드 이미지
Busan Passenger Terminal

북항재개발 홍보동영상(국문)


북항재개발 홍보동영상(국문)

북항재개발 홍보동영상 [오디오 및 자막]

개항이래 대한민국 국제 교역의 전초기지였던 부산항, 북항 과거와 현재의 한계를 넘어 글로벌 미항 유라시아 관문으로 부산의 미래를 책임질 신성장 동력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향한 비상을 시작합니다. 부산 북항시대 개막
[자막 : 개항이래 대한민국 국제 교역의 전초기지였던 부산항, 북항 과거와 현재의 한계를 넘어 유라시아 관문 글로벌 해양 수도로 부산의 미래를 책임질 신 성장 동력과 함께 새로운 미래를 향한 비상을 시작합니다.]
[자막 : 부산 북항시대 개막]

북항 재개발 추진배경

[자막 : 부산항 재개발 추진배경]
1876년 부산포가 개장한 이후 일제강점기 수탈을 위한 전진기지로의 아픔을 겪으며 한국전쟁 당시 UN군 병참기지로 사용되었던 북항 근대화의 물결로 1978년 컨테이너 터미널을 개장하고 2000년 세계 물동량 3위를 달성하는 등 국내 최대 무역항이었던 북항은 급변하는 세계 물류 경쟁 속에 2006년 초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신항이 개장하며 기능이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해양수산부에서는 유휴화되는 북항에 항만 기능과 활력을 불어넣기 위하여 2007년부터 북항 1단계 재개발 마스터플랜을 확정하고 2008년 착공하여 2022년까지 완성할 계획으로 속도감있게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자막 : (북항 재개발 추진 배경, 북항통합개발 2030) 1876 무역항 부산포, 1910 수탈전진기지 일제강점기, 1950 병참기지 한국전쟁, 1978 최초 컨테이너 터미널, 2000 세계 항만 물동량 3위, 국내 최대 무역항 북항, 2006년 부산항 신항 개장, 북항 기능 쇠퇴, 해양수산부 북항의 항만 기능 재편 원도심 연계 개발 추진, 2007년 북항 1단계 재개발 마스터플랜 확정, 2008년 착공, 2022년 완성 계획]

북항 통합개발 2030 마스터 플랜

[자막 : 북항 통합개발 2030 마스터 플랜]
해양수산부에서는 북항 전체에 대한 미래상을 구체화하고 원도심과 연계한 조화로운 개발을 위하여 항만과 철도, 도로, 주변 주거지역 등을 모두 함께 개발할 수 있는 북항 통합개발 2030을 통해 부산 북항을 글로벌 신해양중심지로 육성하는 장기적인 비전을 제시하였습니다.
[자막 : (Master Plan 북항통합개발 2030) 부산항 북항 통합개발 추진단 출범식, Master Plan 북항통합개발 2030, 원도심과 연계한 조화로운 개발, 항만/철도/도로 정비, 주변 주거지역과 조화로운 개발, GLOBAL 신해양산업중심지]
통합개발 2030에는 북항 7대 특화지구 세부발전계획과 북항 일원의 종합교통망 체계 구축방안 등을 담고 있습니다.
[자막 : (Master Plan 북항통합개발 2030) 북항 7대 특화지구 세부 발전계획, 북항 일대 종합교통망 체계 구축방안

북항 통합개발 2030 7대 특화지구

[자막 : 북항 통합개발 2030 7대 특화 지구]
7대 특화지구는 Gateway 친수 문화지구(1단계), 국제교류-도심복합지구 (2단계), 정주공간(부산역), 청년문화 허브지구(부산진역), 근대문화-수변 상업지구(영도 봉래), 해양산업 혁신지구(영도 청학), 해양레저산업 혁신지구(우암부두), 항만물류지구(신선대, 감만부두)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막 : (7대 특화 지구 북항통합개발 2030) 북항 1단계 GATE, 친수문화지구, 북항2단계 국제교류-도심복항지구 / 부산역 정주공간 / 진역 청년문화 허브지구 / 영도, 봉래 근대문화-수변 상업지구 / 영도청학 해양산업 혁신지구 / 우암부두 해양레저산업 혁신지구 / 신선대,감만부두 항만물류지구]
북항 1단계 및 우암부두는 2022년까지 2단계는 2030년까지 영도, 감만부두, 신선대부두는 2030년 이후 단계적으로 사업을 시행할 예정입니다.
[자막 : (7대 특화 지구 북항통합개발 2030) 2022년 완공 목표 북항1단계 우암부두 / 2030년 완공 예정 북항2단계 / 2030년 이후 영도, 감만부두, 신선대부두]
이와 함께 마련된 종합교통망 체계 구축방안은 북항 일대를 원형으로 잇는 교통망을 구축하여 7대 특화지구를 연결하고
[자막 : (7대 특화 지구 북항통합개발 2030) 환상형 종합 교통망 구축(신설 : 서면, 김행, 경부고속도로)(개량 : 충장대로, 부산항대교, 신선로)(기존도로활용 : 해운대, 태종대, 부산항 신항, 엄궁대교)]
지하차로, 고가도로 등의 확장, 신설을 통해 북항 통합개발로 인한 교통량 폭증에 대비하는 등 광역교통망 및 원도심과의 연계성을 강화할 계획이며
[자막 : (7대 특화 지구 북항통합개발 2030) 원도심 연계체계 개선 종합 교통망 구축(원도심 연계 강화 : 초량 1.2, 부산진역 연결통로신설, 범일로, 충장대로 지하차도 연장) (교통혼잡 : 충장대로 1단계 지하차도, 좌천고가교 개량) (가로경관 개선 : 영주고가교), 광역 교통망 및 원도심 연계성 강화]
트램, 보행자 도로 등 녹색교통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마스터플랜을 토대로 문재인 정부는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하여 재개발 사업을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자막 : (7대 특화 지구 북항통합개발 2030) 녹색교통 확충 트램 보행자도로, BUSAN 미래비젼 선포식(2018 BUSAN 미래비전 선포식) 북항재개발사업 100대 국정과제 선정]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 수도를 넘어 아시아의 해양 수도가 될 것입니다” “침체되었던 원도심도 활력을 되찾을 것입니다
[자막 : (문제인대통령)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 수도를 넘어 아시아의 해양 수도가 될 것입니다. 침체되었던 원도심도 활력을 되찾을 것입니다.]

북항 1단계 재개발 주요사업

[자막 : 북항 1단계 재개발 주요사업]
1단계 사업은 유휴, 노후화된 부산 북항을 국제적인 관문과 친수 공간으로 탈바꿈할 우리나라 최초의 항만 재개발 사업으로 2004년 노무현 대통령께서 재개발 사업 추진을 지시하여 2008년 착공하였고 2022년에는 완성할 계획입니다.
[자막 : (1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1단계 재개발 사업, 대한민국 최초 항만 재개발 사업, 20004년 노무현대통령 추진사업, 2008년 착공, 2022년 완성 계획]
1단계는 복합항만지구, 복합도심지구, 해양문화지구, 상업업무지구, 공공업무지구, IT, 영상, 전시지구, 마리나, 오페라 하우스, 워터프론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막 : (1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복합항만지구, 복항도심지구, 해양문화지구, 상업업무지구, 공공업무지구, IT영상전시지구, 마리나, 오페라하우스, 워터프론트]
해양 레포츠 활성화를 위한 마리나 시설과 해양 레포츠 콤플렉스, 국내 최대 수변공원과 2km의 경관수로, 오페라하우스와 랜드마크 등을 조성하고, 교통편의를 위한 트램을 운영하여, 부산북항을 명실상부한 동북아 최고의 국제해양관광 중심지로 육성할 계획입니다.
[자막 : 마리나 시설, 해양레포츠 콤플렉스, 수변공원 & 경관수로, 오페라하우스 & 랜드마크, 트램, 동북아 최고 국제해양관광중심지]

북항 2단계 재개발 주요사업

[자막 : 북항 2단계 재개발 주요사업]
2단계 사업은 2018년 3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신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을 계기로 영국, 일본과 같은 국제적인 도시로 도약하기 위하여 2022년 착공, 2030년까지 완성할 계획입니다.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문재인 대통령 2018년 부산항 미래비전 선포식, 영국(Docklands), 일본(Minato Mirai 21), 2022년 착공, 2030년 완공 계획]
본 사업은 자성대부두 재개발, 부산역 및 부산진역 철도시설 재배치, 주변 배후지역을 결합 개발할 계획입니다.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자성대부두 재개발 / 부산역 및 부산지역 철도시설 재배치, 주변지역 재개발]
특히 자성대 부두 주변에는 1 core + 3 magnet을 컨셉트로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Concept 1Core+3Magnet (1Core : Central Activity Zone, 3Mag : 부산진테라스, 사일로 콤플렉스,MICE]
단지 중심에는 금융, 비즈니스, R&D, 상업, 업무, 주거 등을 복합 개발하여 24시간 열려있는 국제 비즈니스의 중심지인 자성대베이를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CAZ : Central Activity Zone 해양 국제 비즈니스 중심지 육성 상업/업무/주거 복합화 컴팩트 시티로 연계성 강화]
코어 주변에는 대중교통 시설과 연계하여 원도심과 상생 발전을 위한 부산진 테라스와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부산진 테라스 : 원도심, 대중교통 연계 거점화 유라시아 청년문화 허브 기능 복합화]
양곡 저장창고 사일로, 부두 등 산업유산을 보전하여 문화와 역사 공간으로 탈바꿈할 사일로 콤플렉스를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사일로 콤플렉스 : 산업유산(사일로, 부두)보전, 활용을 통한 장소 기능 복합화(문화+수익시설)]
풍부한 국제 교류 인프라를 활용한 회의, 전시, 호텔, 쇼핑이 복합된 MICE시설로 구상하여 미래 성장 거점이 되도록 개발할 예정입니다.
[자막 : (2단계 재개발 사업 북항통합개발 2030) MICE : 회의, 전시+호텔,쇼핑,위락기능 복합화 지역경제 활성화 국제교류 인프라 활용]
정부에서 계획한 대로 이 지역을 국제적인 도시로 새롭게 발전시켜 주시길 바라며, 항상 지역주민과 함께 소통해 주시길 바랍니다.
(강효정 시민 인터뷰) (Interview with Hyo Jung Kang, a local resident)

부산항 북항 비전

[자막 : 부산항 북항 비젼]
이제 부산항 북항은 항만재개발사업을 통해 도시와 바다를 이어 혁신과 미래를 향해 위대한 내일에 도전합니다. 북항을 따라 완성되는 동북아 중심의 해양관광 거점을 시작으로 부산 전체를 변화시키는 북항 시대가 시작됩니다. 그 역사의 중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대한민국 해양수도의 중심 부산 시민이 행복한 동북아 해양수도를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자막 : (부산항 북항 비젼 북항통합개발 2030) 이제 부산항 북항은 항만재개발사업을 통해 도시와 바다를 이어 혁신과 미래를 향해 위대한 내일에 도전합니다. 북항에 따라 완성되는 동북아 중심의 해양관광 거점을 시작으로 부산 전체를 변화시키는 북항 시대가 시작됩니다. 그 역사의 중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대한민국 해양수도의 중심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