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부산항만공사 로고 이미지

사이트맵

KR EN
페이스북 아이콘 인스타그램 아이콘 유튜브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
Global Hub Port

보도자료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김주형
전화번호 : 051-999-2108
담당부서 : 국제물류지원부
조회수 아이콘 164
2024-12-17 15:11:07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부산항만공사 보도자료

일 잘하는 정부 더 편안한 국민

배포일시 : 2024. 12. 17.(화) 총 3매 (본문 3)

담당부서 : 국제물류지원부

담당자 : 부장 이응혁, 과장 전태량, 과장 박정인, 주임 전소영 ☎ (051)999-2100, 2105, 2106, 2108

보도일시 : 배포 즉시 보도 가능합니다.

‘24년 부산항 ’컨‘물동량 2,430만TEU 사상최대 달성 전망

-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역대 최대 실적 경신 -

올해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전년도 2,315만TEU를 넘어 사상 최대 물량인 2,430만TEU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대비 5% 증가 한 수치로, 글로벌 해운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부산항의 경쟁력과 효율 적인 운영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성과다.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 현황 및 전망(단위: 만TEU)] (구분 : 전체 / 2022년 물동량 : 2,208, 증가율 : △2.8% / 2023년 물동량 : 2,315, 증가율 : 4.8% / 2024년(전망) 물동량 : 2,430, 증감량 : 115, 증가율 : 5.0%), (구분 : 수출입 / 2022년 물동량 : 1,031, 증가율 : △1.2% / 2023년 물동량 : 1,075, 증가율 : 4.3% / 2024년(전망) 물동량 : 1,090, 증감량 : 15, 증가율 : 1.5%), (구분 : 환적 / 2022년 물동량 : 1,177, 증가율 : △4.1% / 2023년 물동량 : 1,240, 증가율 : 5.4% / 2024년(전망) 물동량 : 1,340, 증감량 : 99, 증가율 : 8.0%)

특히 올해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와 홍해 사태 등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를 비롯한 다양한 악조건을 극복하며 거둔 성과라는 점에 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번 성과는 특히 환적 화물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적화물 은 제3국 간 교역되는 화물로써, 부산항에서 배를 바꿔탄 후 목적지로 향하 는, 즉 부산항을 거쳐가는 화물을 의미한다.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따라 좌 지우지되는 수출입 화물과는 성격이 다르다. 2024년 부산항 수출입 화물은 1,090만TEU로 전망되며 전년 대비 15만 TEU(1.4%??) 증가에 그쳤으나, 환적 화물은 99만TEU(8%??) 증가한 약 1,340만TEU로 예상돼 이번 기록 달성의 주요 원동력이 됐다. 이러한 성과를 가능하게 한 주요 동력은 글로벌 선사의 남미 신규 항로 4 개 개설로 이어진 미주 및 일본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화물 유치 활동이 다. BPA는 "CEO 주도의 발로 뛰는 마케팅"을 통해 머스크와 하파그로이 드 등 글로벌 선사를 대상으로 미주향 노선 개설 시 부산항 기항의 이점 을 강력히 부각시켰다. 아시아-미주 노선에 투입된 미주향 선박이 태평양 횡단 전 부산항에 기항 할 경우, 아시아 어떤 항만보다 높은 수준의 소석률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는 부산항이 중국, 일본, 동남아를 연결하는 피더노선수 합계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미주향 대형모선은 이 피더노선을 활용해 타 항만에서 출발하는 미주향 화물을 부산항에서 최대한 많이 집화해 선박을 만재할 수 있다. 선 사 입장에서는 부산항을 아시아에서의 마지막 기항지(Last Port)로 활용 함으로써 선대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부산항 입장에서는 다량의 환적화물을 유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아시아 지역 마지막 기항지(Last Port)로서의 경쟁 우위를 심층 분석한 정보를 선사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선사들이 부산항을 전략 적 환적 거점으로 선택할 수 있는 명확한 근거를 제공했다. 그 결과, 미국 향 환적 화물은 전년 대비 18% 증가했으며, 캐나다향 환적 화물은 17%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 (북미향 Last Port 노선 수) 부산 1위 26개, 상해 2위 13개, 선전 3위 9개, 닝보 4위 5개, 요코하마 5위 3개, 카오슝 공동6위 2개, 도쿄 공동6위 2개, 샤먼 8위 1개 * * (남미향 Last Port 노선 수) 부산 1위 13개, 싱가포르 2위 5개, 칭다오 3위 3개, 요코하마 4위 2개, 닝보 공동5위 1개, 상해 공동5위 1개 또한, 부산항의 2위 환적 시장인 일본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부산항의 노·사·정 대표가 공동으로 일본 화주대상 부산항 이용 촉진 설명회에 참 가해 부산항의 경쟁력과 운영 효율성을 알렸다. 이 결과 설명회 개최 지역인 아키타와 이시카리 환적 화물이 전년 대비 8.8%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 모든 성과는 BPA의 미래 대비와 안정적 운영을 위한 지속적 노력이 뒷받침되었기에 가능했다. 올해 부산항은 신항 제7부두이자 한국 최초 완 전 자동화 컨테이너 부두인 DGT 개장으로 해상 공급망 혼란에 대응할 수 있는 하역 시설을 확충했다. 또한, 세계은행(World Bank)으로부터 항만 커뮤 니티 시스템(PCS : Port Community System) 우수 사례로 선정된 체인포탈을 더욱 발전시켜 부산항의 환적 프로세스를 더욱 신뢰할 수 있고 효율적으 로 개선했다. BPA 강준석 사장은 "러시아 전쟁과 홍해 사태에도 불구하고 부산항은 선 제적 대응과 글로벌 선사와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굳건히 지켜냈다"며 "트럼프 집권 2기에 따른 미·중 무역 갈등 심화와 불확실성 속에서도 인프 라 확충과 항만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의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끝.

붙임 : 1. 부산항 10대 성과 리스트 1부., 2. 관련사진(사옥전경_2매). 끝.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담당자 :
국민소통부
연락처 연락처 :
051-999-3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