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바로가기

부산항만공사 로고 이미지

사이트맵

KR EN
페이스북 아이콘 인스타그램 아이콘 유튜브 아이콘 블로그 아이콘
Global Hub Port

부산항 홍보동영상

  • ~

전체 : 3 1 /1p

부산항소개동영상(2023ver, 대표영상)
세계를 연결하는 글로벌 허브항만 부산항이 세계항만의 더 큰 내일을 열어갑니다. 글로벌 허브 포트 부산항 대한민국 대표 항만인 부산항은 국내 최초의 무역항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 국내 최대 항만으로 거듭나며 대한민국 경제성장을 이끌어왔습니다. 그리고 이제 부산항은 세계 일류항만으로 도약합니다. 세계적인 환적 거점항만으로써 국내 수출입 화물과 각국의 환적 화물을 처리하고 세계 3대 간선항로에 위치한 부산항은 150여 개국 항만을 잇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항만 인프라를 갖춘 부산항은 동북가 최대 환적 중심항인 신항, 인트라 아시아 선사 거점항만인 북항, 국내 최대 수산물 거점항인 감천항 및 다대포항 등 특화된 항만시설을 자랑합니다. 여기에 최첨단 항만시설과 우수한 항만인력을 바탕으로 365일 24시간 안정적인 해운물류 서비스는 또 하나의 경쟁력입니다. 또한 대단히 복합 비즈니스 공간인 신항 배후단지는 자유무역 지역으로 지정되어 세계적인 물류 기업들이 대거 입주하고 있으며 새로운 고부가 가치 물류 창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해 나갈 것입니다. 더불어 초대형 선박 저발이 가능한 깊은 수심을 바탕으로 최첨단 항만 인프라와 부두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나가고 끊임없는 개발을 통해 미래형 스마트 항만으로 거듭납니다. 나아가 가덕신공항 건설로 완성되는 해상항공 복합운송 시스템은 글로벌 물류 허브로서 위상을 강화하는 동력이 될 것입니다. 부산항을 경쟁력 있는 해운물류 중심기지로 육성하고자 설립된 부산항만공사는 부산항이 세계항만의 표준이 될 수 있도록 혁신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첨단기술 개발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항만을 구축해 나가고 친환경 시스템으로 더 깨끗한 녹색항만으로의 미래를 선도합니다. 또한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해외 주요 지역의 물류 거점을 확보해 대한민국의 물류 영토를 확장해 나아가며 신뢰할 수 있는 안전한 현장을 만들어 사람 중심인 부산항의 내일을 만들어갑니다. 사람과 도시 자연과 항만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부산항이 각국의 여객선과 크루즈를 맞이합니다. 노후화된 북항의 항만시설을 재개발하여 사람과 비즈니스, 문화와 예술이 공존하는 국제해양관광 중심항만으로 변모할 뿐만 아니라 복합해양문화공간의 탄생으로 명실상부한 동북아 해양수도로 당당히 나아갈 것입니다. 새로운 비전을 품은 부산항이 아시아의 관문에서 세계의 중심항으로 도약합니다. 세계를 잇고 세상을 이끌며 더 큰 가능성을 펼칠 준비가 된 우리는 말합니다. We are all ready 글로벌 허브포트 부산항 [부산항만공사 개장] 부산항 개항 - 1876년 자성대 부두 개장 - 1978년 신선대터미널 개장 - 1991년 감만더미널 개장 - 1998년 신항 1부두, 2부두 개장 - 2006년 북항재개발사업 착공 - 2008년 신항 3부두, 4부두, 5부두 개장 - 2009년~2012년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개장 - 2015년 신항 6부두 개장 - 2022년 [세계 2위 환적거점항만] 연간컨테이너화물처리 세계 7위 연간 컨테이너화물처리 2,200만 TEU [글로벌 해상운송 네트워크 구축] 전 세계 1560여 개국 연결, 정기 컨테이너 항로운영 주당 280여 개 [배후단지] 배후단지 지역 경제 연간 매출액은 약 4,300억원 배후단지 연간 물동량은 약 180만 TEU 배후단지 물루 및 제조기업 약 70여 개 [최첨단 완전 자동화 항만운영] 연간 컨테이너 화물처리 약 1,500만 TEU(신항 처리 기준) 최첨단 하역장비 처리량 30개/h 이상 [BPA] SMART PORT, GREEN PORT, GLOBAL PORT, SAFE PORT [글로벌포트] 네덜란드 로테르담 물류센터운영 스페인 바르셀로나항 물류센터 운영 인도네시아 동부 자바지역 보세창고 운영 그 외 이라크, 오만, 미국 서베너, 미국 로스엔젤레스, 베트남 [북항재개발사업] 경제적 파급효과 31조 5,000억 고용효과 및 고용 창출 120,000명 [2030 총 물동량 3,200만 TEU 시대, 2030 환적물동량 1,700만 TEU 시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담당자 담당자 :
국민소통부 / 김태민
연락처 연락처 :
051-999-3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