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송상근)는 지난 7일 히로키 츠지 ONE(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 부사장이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하여 부산항과 ONE의 미래 발전 계획을 공유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밝혔다. ONE는 2018년 일본 3대 해운사(NYK, MOL, K-Line)의 컨테이너 부문 을 통합하여 탄생한 총 253척의 선박을 운영하는 글로벌 6위 선사이다. 지난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이 2위인 주요 고객으로, ONE의 한해 부산항 처리 실적이 대한민국 2위 항만인 인천항의 전체 물동량(356만TEU)과 유사한 수 준일 정도로 많은 화물을 매년 처리하고 있다. 부산항만공사는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실시간 환적 모니터링 시스템인 '부산 항 Port-i' 활성화를 위해 ONE와의 디지털 협력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Port-i는 선사들이 부산항에서 환적 화물을 쉽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으로, 선박·화물 실시간 모니터링과 이상 징후 탐지, 전 터미널의 통합 선석 운영 현황 제공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 BPA는 ONE와 Port-i의 데이터 공유와 운영 연계를 통해 환적 처리의 효율 성과 정시성을 한층 높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부산항에서의 환적 처리 과정 에 대한 가시성(Visibility)을 확보하고 선박 적재율 또한 높일 수 있게 되어, 부산항의 신뢰도와 환적화물 증대가 기대된다. 히로키 츠지 ONE 부사장은 부산항 Port-i 시스템 운영에 적극 참여할 것임 을 밝히고, 부산항 환적 효율성 개선을 위해 디지털 솔루션을 도입한 BPA에 감사함을 표시했다. 한편 ONE는 어려운 글로벌 해운시장 상황 속에서도 추진 중인 장기 성장 전략을 소개했다. ONE는 선대 확충과 터미널 인프라 투자 등 대규모 계획을 마련해 미래에 대비하고 있으며, 최근 2030년까지 약 200억 달러(한화 약 29조원)를 투자해 친환경 초대형 컨테이너선 건조 및 전 세계 주요 거점 터 미널 투자를 추진하겠다는 확장안을 발표했다. 특히 지난 달 첫 신조 자사선 "ONE Sparkle"이 한국에서 건조되어 지난달 명명식을 마쳤으며, 이러한 적극적인 투자 행보는 부산항에도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항을 주요 허브로 활용해온 ONE가 선대를 확 충해 신규 항로를 개설하거나 환적 물동량을 늘릴 경우, 부산항의 물동량 증 가와 항만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번 ONE 경영진 방문을 계기로 글로벌 선사들과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할 계획이다. 송상근 BPA 사장은 "앞으로도 고객사와의 소통 강화와 혁신적 항만 서비스 제공으로 부산항의 위상을 한층 높이겠다"며 부산항의 지속 성장을 향한 의지를 밝혔다.
* 사진1.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좌)과 ONE 히로키 츠지 부사장(우)
* 사진 2. 부산항을 방문한 ONE 관계자들(좌: 부산항만공사 송상근 사장, 우: 히로키 츠지 ONE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