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부산과학기술고등학교교육진흥원
모시는글 : 여름의 열기가 서서히 물러가고, 가을의 문턱이 가까워지는 계절입니다. 귀하의 건강과 평안을 기원하며 인사드립니다. 부산광역시가 주최하고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이 주관하는 '제11회 부산 R&D 주간'이 오는 9월 25일 (목) 부터 26일 (금) 까지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개최됩니다. 올해 부산 R&D 주간은 "미래 혁신기술로 부산을 재점화"를 주제로, AI, 바이오 등 미래전략기술과 부산의 혁신 전략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와 교류의 장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산·학·연·병·관 혁신주체 중심의 참여형 과학기술 네트워크의 장으로서 부산의 미래 혁신을 그리며 함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이번 행사에 부디 참석하시어 뜻깊은 자리를 함께해 주시길 바랍니다. 부산광역시장 박형준, 부산과학기술고등교육진흥원장 김영부
행사장 : Bexco 벡스코 제2전시장 1층, 회의실 121~126호
행사일정 : 1일차 9.26 목요일 [13:00-13:50 / 소회의실(121~122호) : 부산 R&D 우수성과 발표회 2025 부산 연구개발 우수성과 수상자 성과 발표], [14:00-15:00 / 본 행사장(124~126호) : 개막식 개회 및 시상식], [15:10-16:10 / 기조강연 혁신과 전환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염한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 / 초청강의 AI 시대 최후의 산업 전쟁, 지역 과학기술 전략은? 안현실 UNIST 연구부총장], [16:20-18:00 / 본 행사장(124~126호) : 부산 출항 과학기술인협의회 정책포럼 바이오 산업과 지역 혁신, 연재 지방 바이오 혁신을 통해 글로벌 도전 윤호열 전남바이오 진흥원 원장 ((전)삼성바이오로직스 부사장) / 소회의실(121~122호) : 과학기술 정책 라운드테이블 주요산업·과학기술 분야별 AI 마이크로 일자리 전망 예측] 2일차 9.26 금요일 [10:00-14:40 / 본 행사장(124~126호) : 부산 미래기술 혁신포럼 AI, 제조업의 돌파구인가? 지역 주력산업 혁신을 위한 AI적용 사례와 과제, 발제1 인공지능(AI) 자율제조 산업·정책 현안 및 정부투자 동향 조성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KISTEP) 센터장, 발제2 지능형 제조 시스템의 국내외 기술 적용 사례 및 시사점 강용태 한솔코에버(주) 전무, 발제3 항공제조산업에서의 인공지능(AI) 적용 방안 및 추진 계획 조상환 대한항공 테크센터 부장 / 소회의실(121~122호) : 라이즈·글로컬 혁신 토론회 RISE 체계에서의 산학협력 고도화, 발제1 산학협력의 생태적변화와 미래 방향 남궁문 원광대학교 교수, 발제2 부산형 Open UIC 추진을 통한 개방형 산학협력체계 구축 장후은 부산라이즈혁신원 본부장], [11:40-13:00 / BREAK / BREAK], [13:00-15:00 / 본 행사장(124~126호) : AI 정책 콜로퀴움 AI 대전환 시대, 부산의 인공지능 산업 도약 전략, 발제2 AI 산업생태계 활성화 전략과 LLM 적용 사례 이주석(사)한국인공지능협회 산업AI융합원 원장, 발제2 기업의 AI 대전환은 왜 실패하는가? : 인재육성의 관점 강승일 과실연 AI미래포럼 대표의장 / 소회의실(121~122호) : 부산 과학기술인 정책포럼 지능형 로봇, 부산 미래 산업혁신을 위한 부산과학기술인 콜로키움, 발제1 피지컬 AI의 가능성과 한계 김순겸 KIST AI·로봇연구소 책임연구원, 발제2 지능 서비스 로봇의 현재와 미래 이승준 부산대학교 교수 / BREAK], [15:00-17:10 / 본 행사장(124~126호) : Mini Symposium : Future of Biohealth Tech AI 기반 바이오헬스 데이터 구축활용과 정밀의료 혁신 전략, 발제1 AI 기반 맞춤형 정밀의료 : 부산의 기술 전략과 실현 가능성 송길태 부산대학교 AI대학원장, 발제2 신약개발의 디지털 대전환 : 데이터, AI, ICT 융합이 바꾸는 바이오헬스 산업 우상욱 팜캐드 대표 / 소회의실(121~122호) : 부산 R&D기획 역량강화 세미나 AI 기반 부산항 스마트화 전략 배혜림 부산대학교 교수], [17:20- / 폐회 / 폐회]
오시는 길 : P : 벡스코 제2전시장 지하 1~2층 주차 가능 / 지하철 이용 안내 : 2호선 센텀시티역 1번 출구 → 오디토리움 지나 도보 약 380m, 2호선 벡스코역(시립미술관) 5번 출구 → 시립미술과 지나 도보 약 453m / 버스 이용 안내 : 일반 31, 39, 40, 63, 100, 100-1, 107, 115-1, 139, 141, 181, 200, 307 급행 1006, 1011 / 부산 해운대구 APEC로 30, 벡스코 제2전시장 T051-740-7300v
제11회 부산 R&D주간 운영 담당 TEL. 051-757-5016, E-mail.jyhong@bistep.re.kr